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9. 10:37
완전정맥영양 (TPN)을 실시하는 환자에게서 특히 미네랄 결핍 증상이 나타난다. 이 환자들 중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인슐린을 투여해본 결과 별로 효과가 없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크롬 결핍으로 인해 인슐린 역할이 활발하지 않다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다. 당뇨병 뿐아닌라 지질 혹은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요소로도 역할을 한다. 결핍이 지속되면 정상인보다 동맥겨오하, 심장질환, 고지혈증, 콜레스테롤혈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 외에 말초신경 장애, 각막질환등이 유발된다. 정상적인 식생활을 한다면 결핍증상은 많이 나타나지 않는다. 특정 환경에 노출되거나 미숙아 혹은 임신으로 인해 일시적 결핍이 일어날 수 있다. 식품으로 섭취하는 크롬은 보통 3가 크롬으로 독성이 낮고 자연 섭취시 과잉..
더 읽기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6. 11:48
구리는 성인 기준으로 약 100mg 정도 체내에 존재한다. 금속과 미네랄 성분으로 인류가 진화하면서 뗄 수 없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몸속에서 구리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곳은 바로 뼈이다. 그리고 근육, 간, 뇌, 혈액 순으로 포진해 있다. 우리가 음식물을 통해 구리를 섭취하게 되면 우선적으로 간과 신장에 모이게 된다. 그렇기에 몸의 기관 중 구리의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이 간 그리고 신장이다. 이곳에서 적절히 몸속에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몸속으로 적절히 배분한다. 구리는 대체적으로 단백질 결합을 위한 요소로 사용되거나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도 이용된다. 또한 혈액속의 철분과 잘 결합하므로 철분 흡수와 대사에도 촉진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기를 철분이 부족하면 빈혈이 생기는데 구리가 부..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30. 14:57
동양에서 하루에 식염으로 나트륨을 섭취하게 되면 약 10g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것을 나트륨으로 환산해 보면 4290mg정도 된다. 칼륨은 최소 이것보다 많이 섭취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과잉 섭취량에 도달하게 된다. 성인 남성의 경우 하루 2500mg 정도의 칼륨 섭취량을 유지해야 하며 2800mg정도 평균을 유지하여도 좋다. 여성의 경우는 약 2700mg의 칼륨을 섭취해도 된다. 이것과 같은 비율로 나트륨 섭취를 조절해야 하는데 결국 식염 섭취를 10g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으로 지속적인 건강 문제를 앓고 있다면 식염 섭취를 최대한 조절하고 이에 맞는 미네랄 칼륨을 섭취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칼륨을 알아보기 위한 시간이지만 이곳에서도 결국 나트륨에 대한 경고를 빼놓을 수 없다.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27. 17:09
나트륨의 경우 우리 생활속에서 가장 친숙한 금속과 미네랄이다. 보통 소금으로 많이 섭취하는데 이는 나트륨(Na)와 염소(Cl)이 화학결합으로 염화나트륨(NaCl) 형태로 존재한다. 우리의 몸에서 나트륨이 차지하는 양은 약 0.15%정도 된다. 일반 성인 남성 70kg 체중을 기준으로 본다면 약 100g정도의 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다. 이것은 마그네슘(Mg)와 (Cl)의 함유량과 거의 비슷하게 몸속에 존재하며 미네랄로 분류되는 물질 중에 다섯번째로 많이 포함된 것이다. 음식으로 나트륨을 섭취하면 약 33%정도의 나트륨은 뼈의 구성 성분으로 변하고 나머지 66%정도는 이온 형태로 몸속을 돌아다닌다. 세포밖에서 탄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염화나트륨과 같은 형태로 돌아다니고 있다. 나트륨은 우리 몸에서 혈액과 ..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25. 23:48
일반적으로 많이 알다시피 칼슘이 부족하면 뼈가 약해진다고 알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맞는 이야기다. 칼슘 결핍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골다공증, 골연화증이 발생한다. 그리고 정서적 장애와 근육운동 장애도 유발된다. 더 심하면 고혈압과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0.1%정도의 칼슘은 혈액에서 칼슘 이온으로 부유하고 있다. 이 농도는 늘 일정하게 유지된다. 만약 혈액 속 칼슘 이온 농도가 부족하게 되면 부갑상선 호르몬으로 인해 기존의 뼈에서 칼슘을 흡수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려는 작용이 시작된다. 이로 인해 골량이 감소해지고 심하면 골다공증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뼈를 생성할 때 인 성분이 필수적이다. 칼슘이 뼈로 변할 때 인산칼슘이 되는데 이때 인이 필요로 한다. 반면 인이 적정량..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