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4. 12:40
인간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아프지 않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많이 한다. 그중 몸속의 미네랄의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보충제 형태로 따로 복용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혹은 영양보조제로 분류되어 알약에 필요 영양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현대인들은 농경시대보다 식사량과 식자재에 제한적인 조건에 놓여있기에 간편하게 보조제를 이용하여 건강을 유지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것은 더 나아가 앞으로 일어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일부러 복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가장 좋은 미네랄 섭취방법은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충제를 복용한다면 특정 미네랄의 과다 복용시 발생하는 문제를 사전에 숙지하고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복용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간단하게 미네랄 혹은 비타민..
더 읽기
카테고리 없음 노미노미노 2019. 7. 24. 04:39
온천은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렇다면 온천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아래 세가지 기준 중 한 개만 만족하여도 온천으로 분류된다. 1. 지하에서 분출되는 온수,가스, 수증기나 광수 중 한 개 이상이 섭시 25이상이어야 한다. 2. 미네랄 지정 성분 중에 한 종류 이상이 온천 기준 수치 이상 유지 되어야 한다. 3. 온수 1kg 기준으로 물에 용해되어 있는 물질이 1000mg (1g)이상이어야 한다. 4. 만약 수온이 섭시 25이상으로 분출되며 아무런 물질이 포함되지 않더라도 온천수로 분류할 수 있다. 그렇지만 온천수는 지하에서 분출되는 물로 어느 정도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지상으로 분출된다. 온질은 온천수에 녹아 있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분류된다. 온질을..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4. 00:30
물은 생명활동을 하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요소이다. 생활하면서 물을 자주 마시는데 기왕에 마시는거면 맛있는 물을 마시고 싶은 욕구가 있을 것이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수돗물의 경우 소독을 위해 염소를 혼합한다. 이 염소 냄새 때문에 수돗물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것이다. 그렇다고 염소를 아예 제거한 순수한 물의 맛을 마신다면 의외로 맛이 없다. 맛있는 물의 조건은 몇가지가 있다. 1. 염소가 과하게 첨가되지 않은 물이어야 한다. 2. 1L물 기준으로 100mg정도의 미네랄을 포함하면 물의 맛이 좋아진다. 3. 물의 경도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지만 연수 중 경도 50 정도되면 맛이 좋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4. 물에 적정량의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으면 물의 신선도가 높아진다. 5. 물의 온도가 섭..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3. 18:23
해양심층수는 최근 들어 많이 언급되고 있다. 이 물은 200m이하의 수심으로부터 채수한 해수를 말한다. 200m 이하의 수심에서는 태양빛이 닿지 않아 해양생물들의 광합성으로 인한 유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수심이 깊어 세균이 번식하지 않는 저온상태를 유지하기에 오염 되지 않는 물의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바닷물 특유의 미네랄 성분이 풍부한 상태를 유지한다. 채수한 심층수에서 염분만 제거하여 식수로 가공한 것이 해양심층수 제품이다. 해양심층수는 내륙의 지하수같이 채수한 것이 아니므로 미네랄워터 혹은 내추럴워터로 분류하지 않는다. 상품군으로 분류하자면 보틀워터 (음료)군에 속한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해양심층수는 염분만 제거하여 판매하기보다는 이것에 지하수 혹은 특정 미네랄을 첨가하여 판매한다. 해양 심..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3. 00:17
비소 (As)는 독성이 매우 강하다. 이 때문에 예로부터 독살을 위한 물질로 자주 사용되었다. 개발 도산국에서 비소로 오염된 오수를 섭취하여 비소 중독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간혹 찾아볼 수 있다. 비소는 몸에 축적되면 체내의 효소 작용을 억제한다. 급성으로 비소 중독에 걸리면 이를 배출하려 구토, 설사를 심하게 한다. 더 심해지면 간 기능에 문제가 생기며 혈압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비소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사람들은 피부가 딱딱해지며 각질이 일어난다. 또한 피부 색소침착 혹은 탈색 현상도 일어난다. 지속적으로 노출된다면 피부암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독소 때문에 인간의 활동에 비소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진행된 연구가 없다. 음식으로 비소를 섭취하는 경우가 있을텐데 특히 해조류인 톳은 비소를 많이 함유하..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2. 20:30
일본에서부터 명명된 이타이이타이병은 카드뮴에서 비롯된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도야마 현에 있는 광산 용수가 식수에 흘러 들면서 오염이 시작되었고 이 오수를 사람들이 섭취하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뼈의 골밀도가 낮아지고 뼈가 물러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관절의 통증은 물론 더 나아가 신장 질병도 유발하게 되었다. 오수를 분석한 결과 다량의 납과 아연이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카드뮴은 외부에서 섭취하면 대사 작용을 통해 밖으로 쉽게 배출되지 않는 성질이 있다. 이로 인해 신장 질병이 발생하고 칼슘 혹은 인의 대사 과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뼈를 녹여 이온화 시키는 현상이 일어난다고 추측하고 있다. 특히 카드뮴의 화학 특성은 아연과 매우 흡사하여 몸에서 아연과의 반응 과정에 카드뮴이 개입되는 ..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2. 12:55
알루미늄은 합금 우리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금속과 물질이다. 미네랄로서 인체이 필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실제로 성인 체내에 알루미늄 함유량은 약 40mg정도이다. 그러나 가축에 대한 실험 보고에 의하면 알루미늄 결핍이 발육 부진과 연관성이 있다는 결과가 있다. 인체에는 주로 폐와 뼈에 존재하며 이온 형태로 혈류를 따라 몸속을 돌아다니며 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품으로 알루미늄을 섭취하게 되면 거의 대부분이 체내로 자연 배출되지만 특정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면 체내에 필요없는 양 이상으로 축적되게 된다. 특히 축적된 알루미늄은 독소 성분을 체내에서 뿜어내며 악영향을 미친다. 최근 연구에서는 알루미늄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치매를 일으킨다는 결과가..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0. 07:12
니켈은 은색 빛을 띄는 금속과 미네랄로 대부분 합금 형태로 많이 사용해왔다. 성인의 경우 약 5mg의 니켈을 함유하고 있으며 뼈에 주로 존재하며 간, 신장, 피부에도 미량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니켈 결핍의 경우 특별한 증상이 보고된 적이 없다. 그러나 동물 실험을 통해 결핍 현상이 지속되면 저혈당, 칼슘, 철 그리고 아연의 동반 저하 현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니켈의 중요한 역할은 단백질 결합과정에 있는데 RNA 혹은 리보솜 구조를 안정화 시키는데 역할을 한다. 또한 철분 흡수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여러 효소 활동에도 관여한다. 특히 우레아제(Urease)라는 효소 활동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데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물질이다. 니켈을 합금으로 이용한 반지 혹은 장신구를 사용하면 피부에 알..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