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4. 08:51
의약품 혹은 의약부외품 등에는 올바른 용법과 적정 섭취 용량이 기입되어 있다. 반면 일반 식품 카테고리로 분류되는 영양보충제의 경우 약품과 같이 자세한 복용법과 적정 섭취량이 기입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의약품으로 규정된 제품이 아니기에 상세한 표기를 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의약품으로 구분되는 제품의 경우 복용법과 적정 용량을 반드시 지켜서 복용하여야 할 것이다.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지 않은 영양보충제라도 판매원, 섭취방법, 용량, 부작용 여부등을 미리 확인하고 복용하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보충제의 경우 과다한 섭취를 하지 않도록 한다. 성인 기준으로 하루 상한 섭취량보다 많거나 자신의 특이 체질을 고려하여 적당량을 복용해야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 복용 기간은 최소 한달동안 매일 더 나아가 약 2-3개..
더 읽기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22. 16:58
납은 일상 샐활에서도 많이 찾아 볼 수 있는 금속 물질이다. 독성이 센 만큼 성인 기준으로 포함량은 극히 미량이다. 자연섭취로 하루에 약 330ug정도 체내에 들어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납을 섭취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 것이 없다. 왜냐하면 자연섭취만으로도 납이 체내에 축적되어 배출하지 못하면 부작용이 크기 때문에 인위적인 섭취 필요성에 대해서는 연구의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물 실험을 통해서 미량의 납은 철의 대사활동이나 조혈과정에 역할을 한다고 밝혀져 있다. 그러므로 완전히 납을 체내에서 빼내야 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납은 뼈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온 형태로도 혈류를 따라 이동한다. 납의 특성은 체내의 효소 반응 작용을 억제하는 기능 때문에 과잉 섭취시 대사..
카테고리 없음 노미노미노 2019. 7. 18. 21:53
몰리브덴은 인위적인 환경에 노출되지 않는 한 결핍이나 과잉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특수하게 완전정맥영양 (Total Parental Nutrition)이 지속되면 결핍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인위적인 환경으로 결핍이 지속된다면 구토, 과다호흡, 편두통을 유발하며 의식불명에 이를 수도 있다. 몰리브덴은 금속 성분 중 독성이 매우 약하여 과잉 증세가 나타나더라도 몸에서 바로 배출해내므로 부작용이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몰리브덴이 인위적으로 과잉 상태에서 배출이 지속되면 구리의 배출을 함께 유발하여 빈혈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효소 작용이 활발하여 요산이 과다하게 생성되어 관절통 혹은 통풍을 유발 할 수 있다. 몰리브덴이 인위적으로 과다한 상태가 지속되면 이것을 배출해내기 위해 구토, 설사 증상이..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8. 17:50
몰리드덴 (Mo)은 납을 뜻하는 라틴어로 금속과 미네랄 성분이다. 이 성분은 특히 열과 부식에 강하여 기계 혹은 부품 제작에 합금으로 만들어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금속 물질도 우리 생명 활동에 없어서는 안될 요소이다. 식물을 보더라도 공기의 질소를 흡수하여 이것을 바탕으로 암모니아를 생성해 내는데 이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 니트로게나아제 (nitrogenase)효소이다. 이 효소의 주요 성분으로 몰리브덴을 꼽을 수 있다. 성인 기준으로 약 5mg정도 포함하고 있으며 보통이 건강한 식사와 생활을 유지한다면 결핍 혹은 과잉 증상이 나타나기 힘들다. 채소 요리를 통해 몰리브덴을 섭취하면 약 30%는 흡수되어 간에 축적되며, 30%는 신장을 비롯한 기타 장기에 축적된다. 그외에 나머지는 소화과정에서 자연스럽게 ..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8. 13:43
요오드는 체내에 들어온 양 중 약 70% 정도가 갑상선에서 사용된다. 갑상선은 체내 대사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요오드 과다 혹은 부족에 따라 체중에 가장 영항을 미친다. 신경 혹은 정신적 반응이 무뎌질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활력있는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요오드 권장 섭취량 (일일 섭취 권장량) ▷ 미국 연구 기준에 따르면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권장 섭취량을 150mcg 정도로 보고 있다. ▷임산부의 경우 25mcg정도 더 섭취해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일일 총 175mcg) ▷ 수유중인 여성의 경우 하루 200mcg까지 섭취해도 좋다고 한다. 요오드 역할 (기능, 효능) ▷ 체중감량 도움 (체내 남아도는 체지방 연소시킴) ▷ 성장기 발육에 촉매역할 ▷ 생활 활력 북돋움 ▷ 손톱, 머..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8. 04:53
요오드가 체내에서 지속적으로 결핍상태에 노출되면 감상선 호르몬 생성에 문제가 생긴다. 이때문에 갑상선 자극 호르몬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갑상선이 붓게 되는 비대증이 발생한다. 이것을 갑상선종이라고도 부른다. 요오드가 부족하면 감상선 비대증뿐 아니라 정신발달 장애, 체력 저하, 탈모, 피부질환, 비만 등의 추가적인 건강문제를 유발한다. 태어날때부터 선천적으로 요오드가 부족한 경우도 있다. 이것을 크레틴병이라고 부르는데 발육 장애 혹은 정신발달 장애 등을 겪게 된다. 요오드가 풍부한 해산물을 많이 섭취하지 못하는 내륙지방에서도 간혹 집단적인 갑상선 비대증을 관찰할 수 있는데 오히려 요오드를 과잉 섭취하는 지방에서도 비대증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요오드가 포함된 보충제를 과다 섭취하면 갑상선종의 원인이 될 수..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8. 00:49
갑상선 호르몬의 주요 구성 선분인 요오드는 아이오딘 (Iodine)으로도 불리는 미네랄 요소이다. 액상일때는 갈색을 띄며 기화되면 보라색을 띄는 비금속 물질이다. 소독약의 일종으로도 익숙한 요오드팅크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요오드를 발견해낸 과정은 해초로부터 화약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화되면 보라색 빛을 띈다고 하여 그리스어로 ‘제비꽃색 – iodes’로부터 이름을 땄다. 성인의 경우 약 15 -20mg 정도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갑상선 호르몬 형태로 존재한다. 갑상선 호르몬 주요 성분으로 티록신 그리고 트리요오드사이로닌을 꼽을 수 있다. 이 호르몬은 체내의 단백질, 당질 등의 대사 과정에 많은 역할을 한다. 성장기 어린이의 경우 특히 요오드 미네랄이 특히 더욱 필요로..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7. 20:44
망간은 콩류, 견과류, 채소류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을 반추해 보면 식물성 음식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유는 토양에 포함된 망간 성분이 식물이 성장하면서 흡수되기 때문이다. 망간은 음식물로 섭취한다고 하여도 생각만큼 흡수율이 높지 않다. 또한 철분이 많은 음식물은 망간의 흡수를 방해하기도 한다. 망간을 포함하는 음식들을 알아보자 (100g당 망간 함유량) 식빵 0.24mg 쌀 0.35mg 밀가루 4mg 대두 1.9mg 두부 4.5mg 땅콩 1.5mg 참깨 2.5mg 아몬드 2.5mg 생강 5mg 파인애플 1.5mg 김 3.7mg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