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7. 16:39
망간 (Mn, Manganese,망가니즈)은 체내에 잔존하는 비타민 성분들을 사용하기 위한 효소 활성화를 돕는다. 대표적으로 비오틴, 비타민 B1, 비타민 C가 반응한다. 망간 역할 (망간 기능, 효능) ▷ 골격을 유지하기 위한 뼈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골다공증 예방) ▷ 티록신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하는데 주요 물질이다. ▷ 음식 소화 과정과 흡수된 영양분을 사용하는데 촉매 역할을 한다. ▷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다. ▷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기억력 향상) 일일 권장 섭취량 (망간 하루 섭취 권장량) 따로 섭취량이 정해진 바는 없다. 그러나 건강한 성인 기준으로 하루 2 ~ 5mg 정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미국 연구 기준) 망간 결핍증 ■ ..
더 읽기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7. 12:33
성인의 경우 망간은 보통 약 20mg정도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인 식사를 한다면 망간의 결핍이나 과다증상은 일어나기가 힘들다. 미량이지만 망간은 이온 형태로 몸속 구석구석에 분포하며 특히 에너지원 ATP를 생성하는 미토콘드리아 내부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 외에 뼈, 간, 신장, 체모, 멜라닌색소 등에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망간의 역할은 생각보다 많이 밝혀진 것은 없지만 체내의 효소 활성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을 보통 보인자로고 하는데 피루브산 카르복실라아제,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외에 단백질 혹은 지질, 당질을 소화시키기 위한 촉진제로도 역할을 하며 뼈 혹은 관절의 조밀도를 높이는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성장기의 아이들에게 필수적인 미네..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7. 08:29
망간이 부족하면 뼈 건강에서 바로 신호가 온다. 이와 더불어 성 기능에도 장애를 일으키며 운동능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손톱이나 피부 상태에도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피부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인슐린 제어 능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당뇨병 악화에도 원인이 된다. 반면 망간이 과잉으로 체내에 축적된다면 두통, 폐렴, 파킨슨병, 정신 질환, 무기력증을 유발 할 수 있다. 과잉증은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매우 드문 일이며 발생하더라도 특수한 산업 현장에서 발병할 확률이 높다. 일반적으로 보통의 식생활을 한다면 결핍 혹은 과잉 증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7. 04:30
구리는 간에 저장되므로 육류에서 간을 섭취하면 풍부한 양을 얻을 수 있다. 육류 외에 갑각류 혈액에 구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헤모시아닌이 풍부하므로 권장하는 음식 중에 하나이다. 이 외에 콩류, 견과류도 구리를 함유하고 있다. 구리를 섭취하더라도 몸속에 흡수를 방해하는 몇가지 물질이 있다. 대표적으로 비타민 C의 아스코르브산, 2가철 물질 그리고 주석이다. 다음으로 구리를 함유하고 있는 음식을 알아보자 (100g 구리 함유량) 식빵 0.1 mg 쌀 0.1mg 소의 간 5.3mg 돼지의 간 1mg 굴 1.1mg 가재 3.4mg 쭈꾸미 3mg 대두 1mg 청국장 0.6mg 깨 1.6mg 달걀노른자 0.2mg 코코아 3.9mg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6. 15:52
구리가 녹이 슨 상태를 녹청이라고 한다. 보통 녹이 슬면 맹독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녹청 상태의 성분에는 독소가 많이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 동경대 의학부에서 후생성과 조사한 결과 녹청에 독성이 거의 없다는 것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녹청의 주요 성분으로는 염기성유산구리, 염기서탄소구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구리가 공기중의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유황과 결합하여 녹청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부터 구리는 독성이 없는 금속과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세균을 억제하거나 살균할 수 있는 역할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구리 동전을 잘 보면 부식이 되어 외관상 더럽게 보이지만 오히려 항균 작용으로 인해 균이 많이 없는 상태라고 한다...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6. 07:40
아연은 주로 육류, 콩류, 견과류 그리고 어패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육류는 철분과 함께 아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육류를 섭취할 때 단백질과 함께 결합하면 아연 흡수에 더 큰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육류를 섭취하는 것은 아연을 보충하는데 좋은 방법일 수 있다. 그 외에 콩류나 견과루에도 아연을 함유하고 있는데 동시에 아연 흡수를 방해하는 피트산도 같이 있어 흡수율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외에 달걀노른자, 코코아도 풍부한 아연을 포함하고 있다. 아연을 포함한 음식들을 종류별로 살펴보자. (음식 100g당 아연 함유량) 식빵 0.8mg 쌀 0.6mg 소고기 6mg 돼지고기 6mg 굴 13mg 멸치 7mg 콩 5mg 청국장 2mg 아몬드 4mg 참깨 6mg 달걀노른..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6. 03:05
아연은 성인 남성 기준 일일 권장 섭취량은 약 12mg정도이며 여성의 경우 약 9mg이 적당하다. 가임기 여성 혹은 수유기 여성의 경우 약 2mg -3mg정도 추가 섭취하여도 좋다. 최근에 보고되는 현대인 식사 영양분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하루 약 9mg정도 여성의 경우 약 7mg정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보더라도 바쁜 생활로 인해 식사를 자주 거르거나 골고루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는 환경으로 인해 아연의 결핍이 누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남성 하루 최대 아연 상한 섭취량은 약 40mg 정도이며 여성의 경우 약 35mg정도로 보고 있다.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7. 15. 19:53
미각은 일반적으로 크게 4가지 맛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짠맛, 단맛, 쓴맛, 신맛이 그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감칠맛이라는 것이 있다. 미각을 통해서 우리의 몸이 어떤 물질을 섭취하는지 인지 할 수 있다. 만약 단맛을 느끼는 물질이 입으로 들어가면 에너지원을 섭취하는 것으로 인지한다. 짠맛을 내는 소금을 섭취하면 미네랄 관련 물질이 유입되는 것으로 인지한다. 정상적이지 않은 신맛을 느낀다면 음식이 상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쓴맛을 느끼는 물질에 대해서는 독소 성분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으로 인해 본능적으로 독을 피하는 반응을 보인다. 아이들이 신맛과 쓴맛에 본능적으로 회피 반응을 보이는 것도 이러한 인지 작용 때문인 것이다. 맛을 느끼는 과정은 혀의 맛봉오리에 있는 미각세포를 맛을 내는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