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26. 19:02
DNA는 다른 이름으로 디옥시리보 핵산이라고 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유전자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의 주요 구성요소로 당, 염기, 인산이 있다. 그리고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아민이라는 각각의 염기배열을 이용하여 유전 특성을 전달하는 물질이다. RNA는 리보 핵산이다. 이 또한 당, 염기, 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종의 유전 정보 전달과정에서 메신저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또한 단백질의 주요 요소인 아미노산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생물이 활동하기 위한 에너지의 원료라고 볼 수 있는 ATP (아데오신3인산)의 주요 성분도 인이다. ATP는 아데닌, 당, 인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미리 축적이 가능하여 필요로 하게 되면 에너지 원료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우리가 보통 음식으로 섭취..
더 읽기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26. 15:56
칼슘 다음으로 인체에 많이 포함된 미네랄이 인이다. 약 1%가 있으며 비금속 물질이다. 우리의 몸에 대부분의 인은 인산칼슘 혹은 인산마그네슘 형태로 뼈나 치아로 존재한다. 이것이 약 80%이며 나머지 20%는 인체 전반에 포진하여 생명 유지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인은 특히 세포 기관 구성 요소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주로 세포 막을 구성하며 그외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소포체, 핵의 막을 형성하는 주요 성분이다. 이 외에 RNA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또한 ATP라고 하는 에너지원의 주요 성분으로 필수적이다. 보통 소장을 통해 인이 많이 흡수되는데 대부분은 칼슘과 결합하여 뼈를 이루며 그 외의 인은 혈중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체내에서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통해 많이 섭취 가능한데 ..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26. 07:58
일반적으로 미네랄 섭취량은 추정평균필요량, 권장섭취량 그리고 상한 섭취량으로 나뉜다. 추정 섭취량의 경우 모집단의 50%정도의 사람이 섭취했을 것이라는 추정치이다. 권장섭취량이란 모집단에 속하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이 하루 충분량을 충족했다고 예측한 섭취량이다. 일반적으로 권장섭취량 이상이 되는 양을 섭취하면 좋을 것이다. 남자의 경우 12-14세가 되면서 골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이때 권장 칼슘 섭취량은 1000mg정도가 된다. 여자의 경우 이 시기에 약 800mg을 섭취하도록 한다. 이후에 남자와 여자 모두 하루에 약 650mg을 섭취하도록 한다. 여성의 경우 60세 이후가 되면 최소 650mg이상의 칼슘을 섭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것은 폐경으로 인한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정 권장량이다. ..
건강음식재료/미네랄 노미노미노 2019. 6. 25. 23:48
일반적으로 많이 알다시피 칼슘이 부족하면 뼈가 약해진다고 알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맞는 이야기다. 칼슘 결핍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골다공증, 골연화증이 발생한다. 그리고 정서적 장애와 근육운동 장애도 유발된다. 더 심하면 고혈압과 동맥경화와 같은 혈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0.1%정도의 칼슘은 혈액에서 칼슘 이온으로 부유하고 있다. 이 농도는 늘 일정하게 유지된다. 만약 혈액 속 칼슘 이온 농도가 부족하게 되면 부갑상선 호르몬으로 인해 기존의 뼈에서 칼슘을 흡수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유지하려는 작용이 시작된다. 이로 인해 골량이 감소해지고 심하면 골다공증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뼈를 생성할 때 인 성분이 필수적이다. 칼슘이 뼈로 변할 때 인산칼슘이 되는데 이때 인이 필요로 한다. 반면 인이 적정량..
건강관리 노미노미노 2019. 6. 25. 15:10
칼슘은 보통 근육의 세포나 신경 세포에 체액 중 이온 형태로 부유하고 있다. 보통 세포의 밖의 농도가 안쪽보다 10,000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칼슘은 신경세포의 신호 전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경세포는 말단끼리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는 아니다. 보통 시냅스라하여 약간의 공간이 있다. 신경세포에 전달된 전기신호가 시냅스 끝부분 (신경세포 말단)에 도달하면 부유하고 있던 칼슘 이온이 세포내로 들어간다. 칼슘이온은 세포안에서 칼모듈린이라는 단백질 성분과 결합하여 활성화 된다. 이것은 정보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 방출을 유도하고 이것이 다음 신경 세포로 전달되어 정보가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은 근육 운동에서도 비슷하게 관찰 할 수 있다. 근육세포에 명령 신호를 뇌에서 보내면 근소포체의 칼슘이온..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