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22. 11:21
장내 세균이 혈액속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것이 최근 들어 많이 관찰되고 있는 경향이 있고 특정 질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그 수치가 높다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마치 현대병의 일종으로 좀더 주의해야 할 문제가 되는 것이다. 옛날 사람들 특히 1900년대 초중반(전쟁전)의 사람들에게서는 특별한 알레르기나 원인 모를 질병들이 많이 발견되지 않았다. 심지어는 우리보다 안 좋은 위생환경에서도 그들은 모두 건강하게 살아왔다. 이것을 보더라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우리가 먹는 음식과 식습관 더 나아가 생활 패턴에서 비롯된 문제가 장 누수현상을 가속화 시키는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장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
더 읽기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21. 22:53
소장의 두번째 악성 물질로 부패물과 독소에 대해 알아보자. 소장은 쉬지 않고 매일 소화와 분해 과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소장에 유해균이 많아지면 덜 소화된 음식물들이 세균의 먹이가 된다. 유해균은 이 음식물들을 먹고 나쁜 독소나 가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소장내에 악옥균이 유익균보다 득세하게 되면 장속의 음식들이 소화와 분해에 방해를 받고 부패하게 된다. 그리고 이미 장 누수 현상을 앓고 있다면 이 부패물과 독소들이 몸속으로 흡수되기 쉬워진다. 유해균으로 인해 생성된 독소나 부패물이 혈액을 통해 우리 몸속에서 어떠한 질병을 유발하는지는 좀더 연구를 거듭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의학계에서는 이러한 독소들이 혈액을 타고 이동하는 중에 특정 부분에서 질병을 유발하는 원인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심을 ..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21. 10:35
소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중에 하나이지만 생각만큼 다른 생체 기관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렇기에 아직도 질병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임상을 통한 연구가 더 활발해져야 하는 상황이다. 사실 소장에서 바로 병이 발병한 경우가 많이 없기에 다른 기관에 비해 주목을 덜받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우리가 익히 아는 바와 같이 소장을 제외한 소화 기관 중 췌장 십이지장 그리고 대장관련 질환에 대해서는 많이 알고 있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소장과 관련된 질병에 대해서는 많이 아는 바가 없다. 어쩌면 소장은 우리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가장 중요한 생체 기관이기에 직접적인 병이 발병하지 않을 수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직접적인 병이 발병하지 않는 주요 원인 중에는 소장 세포의 대사 속..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18. 11:27
글루텐 성분과 관련된 질병은 동양보다 서양에서 많이 보고 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연구 발표된 글루텐 관련 질병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글루텐 불내증 (과민성대장증후군, 장염 유발) 현재 미국내에서 글루텐 성분으로 민감하게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2000만명 이상으로 집계되고 있다. 자신도 모르는 글루텐 섭취로 만성피로, 알레르기, 피부질환을 앓는 사람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증상들을 통칭하여 글루텐 불내증이라고 한다. ■ 글루텐 불내증 증상 ▷ 원인 모를 만성 소화불량 ▷ 설사와 변비 ▷ 헛구역질 ▷ 피로 ▷ 피부 트러블 ▷ 심하면 아토피 피부 발생 ▷ 비염 ▷ 월경전 증후군 (PMS) ▷ 생리 불순 ▷ 집중력 저하 ▷ 무력감 글루텐 불내증 자연 치료 방법 대부분의 사..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18. 06:51
앞서 살펴본 글루텐의 대표 악영향 3가지 중 마지막 사항에 대해 좀더 살펴보자. 글루텐은 장에서 혈관으로 흡수되면 많은 질병과 알레르기를 유발한다. 밀의 글루텐 성분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소화 과정 중 아미노산까지 분해되어 소장에서 흡수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아미노산까지 분해되어 정상적으로 흡수되면 문제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장 누수로 인해 장 융모의 틈새로 완전히 분해와 소화가 안된 분자량이 큰 단백질이 흡수되는 것이 문제다. 사람의 몸은 분자량 1만 이상의 물질에 대해 반응을 한다. 몸 스스로가 이물질로 인식하고 항체를 생성하며 공격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알레르기가 발현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기피해야 할 글루텐의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소화가 완전히 안된 1만 이상의 분자량을 가진 ..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18. 02:51
개량 밀에 포함된 글루텐 성분은 어떻게 우리 건강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크게 3가지 악영향으로 나눌 수 있다. 혈당 상승 (글루텐 당질로 인한 혈당 급상승 증상) 개량 밀에는 '아밀로펙딘A'라는 녹말 성분이 있다. 이것은 소화 속도가 매우 빨라 우리 몸에 흡수되면 포도당으로 급속하게 흡수된다. 이것은 결국 우리의 혈당치를 급격하게 높인다. 혈당이 갑자기 치솟게 되면 췌장에서 인슐린을 대량으로 내보낸다. 혈액의 포도당 성분은 지방으로 변환되어 세포에 저장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체지방이 쌓이게 되는데 일반적인 과정보다 더 쉽게 축적되게 된다. 인슐린의 대량 분비는 갑작스런 저혈당 현상도 일으키기도 한다. 이렇게 되면 공복감을 느껴 폭식으로 이어지며 악순환의 시작이 되는 것이다. 지속적으로 이러한 과정..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15. 20:17
소장에 장 누수가 생겨서 점막에 구멍이 생겼다고 생각하면 그 구멍이 도대체 얼마나 큰 것이기에 악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장 누수로 인한 구멍은 우리가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들 정도의 작은 틈에 불과하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구멍이라는 표현을 하지만 소장의 틈새라고 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소장의 융모는 겹겹이 쌓여서 많은 주름을 이루고 있다. 이것을 모두 펼쳐 본다면 약 테니스코트 한 개 정도의 넓이와 비슷하다고 하니 그 표면적의 범위는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주름에는 작은 미세 융모들로 꽉 차 있다. 장 누수라고 불리는 틈은 이 미세 융모와 융모 사이의 틈을 일컫는 것이다. 융모는 상피세포로 분류되는 점막 세포로 덮여 있다. 외부 요인과 환경에 의해 장 건강이 악화되면 이..
건강관리/장건강 노미노미노 2019. 10. 15. 12:06
장 누수 현상은 주로 소장에서 일어난다. 그러므로 소장이 하는 중요한 6가지 역할 (기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소화 분해 (음식을 소화 분해하는 역할) 인간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끈임없이 에너지를 만들어내야 한다.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소장이다. 소장은 음식을 분해, 소화, 흡수 운동을 끈임없이 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잘게 부숴진 음식들은 분자단위로 잘게 분해되면서 소장의 주름을 지나면서 몸속으로 영양분을 흡수한다. 만약 소장에 장 누수현상이 일어난다면 음식의 에너지를 잘 흡수할 수 없게 된다. (소화불량의 원인) 이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확률이 크다. 소장의 장누수는 소화불량을 비롯해 결국 영양의 불균형으로 이어지게 된다. 2. 노폐물 제거 (독소 제거, 배..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